정보 소식

[용인안산노무사] 회전근개 파열(M751)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업무상질병 산재 신청으로 요양급여와 휴업급여 보상

관리자
2025-03-12
조회수 34


안녕하세요, 딜라이트산재보상센터 노무사 백수진 입니다.


01. 산재 신청 전, 회전근개 파열 알아보기


여러 근골격계 질환 가운데 '회전근개 파열' 산재 신청을 고민하며 저희 딜라이트노무법인 산재보상센터를 찾아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어깨 사용이 잦은 직업군에서 반복적인 신체부담작업으로 통증이 시작되고 결국 회전근개 (부분) 파열로 진단받는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회전근개는 어깨를 감싸고 있는 4개의 근육과 힘줄로 이루어진 구조인데요, 우리가 팔을 들어 올리거나 돌릴 때 이 회전근개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반복적인 작업이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행동 등으로 회전근개에 무리가 쌓이면 결국 힘줄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것이 바로 회전근개 파열입니다.


사진출처 :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쉽게 말해 어깨를 많이 써서, 어깨 속 근육과 힘줄이 찢어진 상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회전근개 파열 증상으로는 ▲팔을 들어 올릴 때 심한 통증, ▲어깨가 걸리는 느낌, ▲팔을 움직일 때 힘이 빠지는 느낌, ▲수면 시 통증(특히 누웠을 때 심해짐) 등이 있습니다.


위와 같은 증상 때문에 일상생활이나 작업 수행이 매우 어려워지며, 결국 치료와 휴식 및 심할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간 반복적인 어깨 부위 신체부담작업이 있었다면 회전근개 파열은 업무상 질병 산재 신청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02. 회전근개 파열 위험이 높은 주요 직업·직종


□ 건설업 - 철근, 형틀, 목수, 배관공 등

□ 제조업 - 기계 조립, 금속 가공, 프레스, 사출, 용접 등

□ 물류운송업 - 택배, 이삿짐 운반, 하역, 지게차 운전 등

□ 청소 및 서비스업 - 호텔 객실 정비, 빌딩 청소, 가사 서비스 등

□ 간호 및 요양직 - 환자 이동, 케어, 목욕 보조 등


위와 같은 직업과 직종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팔을 들어 올리거나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작업이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회전근개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만약 아래와 같은 작업자세가 반복된다면 산재로 인정될 수 있으니 직력과 작업자세 등 업무관련성에 대한 입증에 대해 노무사의 조력을 얻어 진행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03. 근골격계 산재 업무상 질병 산재 최초 요양급여 신청 절차 및 필요 서류


산재보험급여를 받으려면 우선 최초 요양급여 신청을 해야하고, 이때 업무관련성(직업과 질병의 인과관계)을 평가하게 됩니다. 준비해야 할 기본적인 서류로는 ▲병원 진단과 치료 및 진단서·산재 소견서, ▲최초요양급여신청서, ▲의사소견서(필요시), ▲직업력 증빙자료, ▲작업환경설명서 또는 재해경위서, 산재신청이유서 등이 있습니다.


회전근개 파열은 MRI 등 진단자료만으로는 산재로 인정받기 어렵고, 작업환경·직업력·반복작업 사실 증명이 중요한 질병입니다. 노무사의 도움을 통해 작업관련성 입증자료 준비, 복잡한 신청서류 대행, 산재 심사 대응 및 보완자료 제출, 불승인 시 이의신청 및 재심사 대응 등 전문적이고 신속한 절차 진행이 가능합니다.




👉 산재상담/사건의뢰

· 📞031-778-6875 (무료상담)

· 카카오톡 빠른문의(바로가기)

· 네이버로 상담예약(바로가기)

2025. 3. 12.

딜라이트노무법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