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근전까지 멀쩡했던 근로자가 갑작스럽게 쓰러졌다는 소식, 한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뇌출혈, 심근경색 등 뇌심혈관계 질환은 과로, 스트레스, 교대근무 등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질환이 발생해도 많은 근로자분들이 "산재가 안될 거야..."라고 지레 포기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명확한 조건만 충족하면 뇌심혈관계 질병도 충분히 산재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뇌심혈관계 산재 인정요건과 신청 절차, 주의사항을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01. 뇌심혈관계 질병이란?
산재로 인정 가능한 뇌심혈관계 질병은 아래와 같은 질환을 포함합니다.
- 뇌혈관 질환 : 뇌출혈, 뇌경색, 지주막하출혈 등
- 심혈관 질환 : 급성심근경색, 부정맥, 협심증, 대동맥박리 등
이러한 질환은 급격한 업무강도 상승, 장시간 노동, 교대근무, 업무상 스트레스에 의해 촉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02. 산재로 인정받기 위한 핵심 요건
근로복지공단은 뇌심혈관계 질병이 산재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다음과 같은 기준을 봅니다.
1. 발병전 1주일 - 3개월 사이에 업무상 과로나 스트레스가 있었는지
- 연장근로, 야간/휴일근무, 잦은 출장, 교대근무 등
2. 급격한 업무환경 변화나 과도한 정신적 부담이 있었는지
- 인사이동, 조직개편, 대형 프로젝트 투입, 책임증가 등
3. 발병시점과 업무와의 인과관계
- 근무 중 쓰러졌거나, 근무 직후 급성증상이 발생한 경우 유리합니다.
4. 기저질환 여부
- 고혈압, 당뇨 등 기존 질환이 있더라도 업무로 인해 악화되었다면 산재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03. 산재신청 절차
(1) 요양급여 신청서 제출 : 근로복지공단에 신청서와 질병 관련 자료들을 제출합니다.
(2) 사실관계조사 : 회사, 현장 조사를 실시합니다.
(3) 자문의사 및 심사회의 판단 : 업무와 질병 사이의 인과관계를 판단합니다.
(4) 산재여부 결정 : 평균 3-6개월 소요되며, 불승인시 이의신청(심사청구제기)이 가능합니다.
04. 뇌심혈관 산재 주의할 점
1. 진단 직후 바로 신청하는 것이 매우 유리합니다.
- 시간이 지나면 근무기록 확보나 인과관계 입증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2. 회사에서 "개인질환"이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 이럴 때를 대비해 근무시간표, 야근기록, 스트레스 관련 증거를 잘 모아두어야 합니다.
※ 이와 관련하여 저희 딜라이트노무법인에서 실제 수행한 사례에서도 사업주측이 산재신청 뇌심혈관 질병에 대해 개인질병이라고 적극 불인정 의견을 개진하였으나, 최종 산재 승인 받은 사례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성공사례] 만성과로 모텔 근로자 뇌지주막하출혈(I605), 뇌실내출혈(I615), 뇌수두증(G919) 등 산재 대리 수행하여 승인받은 사례 (#뇌출혈산재 #산재노무사)
3. 노무사의 조력이 큰 도움이 됩니다.
- 산재 전문가인 노무사는 진단자료 분석, 재해경위서(이유서) 작성, 업무관련성 입증 등 산재 신청의 제반 과정을 모두 지원해드리고 있습니다.
05. 실제 인정 사례
[1] (사례1) 모텔 관리인(객실청소원) 60대 여성, 만성과로에 따른 뇌출혈 발병 => 산재 인정
[2] (사례2) 50대 남성, 조직개편 후 프로젝트 리더 맡은 뒤 심근경색 발생 => 산재 인정
[3] (사례3) 40대 여성, 야간 교대근무 중 뇌출혈 발병 => 산재 인정
※ 뇌심혈관계 질병은 단순한 '개인 건강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과로, 업무스트레스, 급격한 업무강도 변화 등이 분명이 있었다면 '산재'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혼자서 고민마시고, 전문 노무사의 도움을 받아 빠르고 정확하게 산재신청을 준비하시기를 바랍니다.
🚩 방문상담 예약/사건의뢰
· 전화 : 031-778-6011
· 카톡 : @딜라이트노무법인
· 네이버 상담예약 바로가기
👉 전체 글 보러가기 (아래 제목 클릭)
📕뇌출혈·심근경색도 산재인가요? - 뇌심혈관계 질병 산재신청, 꼭 알아야 할 것들
2025. 4. 15.
딜라이트노무법인
출근전까지 멀쩡했던 근로자가 갑작스럽게 쓰러졌다는 소식, 한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뇌출혈, 심근경색 등 뇌심혈관계 질환은 과로, 스트레스, 교대근무 등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질환이 발생해도 많은 근로자분들이 "산재가 안될 거야..."라고 지레 포기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명확한 조건만 충족하면 뇌심혈관계 질병도 충분히 산재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뇌심혈관계 산재 인정요건과 신청 절차, 주의사항을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01. 뇌심혈관계 질병이란?
산재로 인정 가능한 뇌심혈관계 질병은 아래와 같은 질환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질환은 급격한 업무강도 상승, 장시간 노동, 교대근무, 업무상 스트레스에 의해 촉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02. 산재로 인정받기 위한 핵심 요건
근로복지공단은 뇌심혈관계 질병이 산재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다음과 같은 기준을 봅니다.
03. 산재신청 절차
(1) 요양급여 신청서 제출 : 근로복지공단에 신청서와 질병 관련 자료들을 제출합니다.
(2) 사실관계조사 : 회사, 현장 조사를 실시합니다.
(3) 자문의사 및 심사회의 판단 : 업무와 질병 사이의 인과관계를 판단합니다.
(4) 산재여부 결정 : 평균 3-6개월 소요되며, 불승인시 이의신청(심사청구제기)이 가능합니다.
04. 뇌심혈관 산재 주의할 점
05. 실제 인정 사례
[1] (사례1) 모텔 관리인(객실청소원) 60대 여성, 만성과로에 따른 뇌출혈 발병 => 산재 인정
[2] (사례2) 50대 남성, 조직개편 후 프로젝트 리더 맡은 뒤 심근경색 발생 => 산재 인정
[3] (사례3) 40대 여성, 야간 교대근무 중 뇌출혈 발병 => 산재 인정
※ 뇌심혈관계 질병은 단순한 '개인 건강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과로, 업무스트레스, 급격한 업무강도 변화 등이 분명이 있었다면 '산재'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혼자서 고민마시고, 전문 노무사의 도움을 받아 빠르고 정확하게 산재신청을 준비하시기를 바랍니다.
🚩 방문상담 예약/사건의뢰
· 전화 : 031-778-6011
· 카톡 : @딜라이트노무법인
· 네이버 상담예약 바로가기
👉 전체 글 보러가기 (아래 제목 클릭)
📕뇌출혈·심근경색도 산재인가요? - 뇌심혈관계 질병 산재신청, 꼭 알아야 할 것들
2025. 4. 15.
딜라이트노무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