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딜라이트노무법인입니다.
지난달 15일 서울고등법원은 한국마사회의 인사처장에 대한 징계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인사처장이 감사위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직장 내 괴롭힘 신고자를 다른 부서로 인사발령하는 시행안을 작성하고 결재하였는데, 회사는 이를 징계사유로 보았지만 법원은 해당 인사발령이 감사행위 방해 관여나 조력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며 징계사유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본 것입니다.
이 사례는 업무지시를 거부하거나 불이행한 것도 아니고 '상사의 지시에 따라 행동했을 뿐인데 이걸로 징계를 받아야 하나?' 라는 현실적인 의문과 맞닿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업무지시 관련 징계사유의 정당성 판단 기준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상사의 명령에 따른 행위라고 해서 모든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 근로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상사의 정당한 업무 지시는 따를 의무가 있습니다.
- 그러나 상사의 업무지시가 명백히 위법하거나 취업규칙이나 근로계약을 위반하거나 사회통념에 반하는 명령인 경우라면 거절할 수 있고, 이는 정당한 징계사유가 되기 어렵습니다.
- 문제가 되는 경우는 상사가 위법한 업무지시를 했는데 회사의 위계질서가 엄격해 거절할 수 없었고, 마지못해 혹은 어쩔 수 없이 그 명령에 따랐을 때입니다. 상사의 명령이라 하더라도 위법성을 알면서 행한 행위는 행위자 자신도 그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고 상사의 명령의 순종했다는 것으로 변명이 되거나 그 책임을 면할 수 없게 됩니다.
■ 업무지시 관련 징계사유의 정당성은 이렇게 판단합니다.
[1] 사용자의 업무지시 정당성
- 업무지시는 근로계약·직무범위 내에서 내려져야 하며 법령이나 사규·단체협약에 위반되지 않아야 합니다.
- 부당하거나 불법적인 지시, 혹은 근로자의 인권을 침해하는 지시는 정당한 업무지시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2] 근로자의 거부 사유 정당성
- 근로자가 지시를 따르지 않은 데에 '부득이한 사유'가 있다면 징계사유로 삼을 수 없습니다.
- 예를 들어, 상사의 지시가 위법하거나 건강상 심각한 문제가 있거나 이미 노동위원회 등에서 구제명령이 내려진 사안에 반하는 지시라면 거부가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3] 업무지시의 명확성 및 입증 책임
-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명확하게 지시한 사실과 지시의 내용 및 중요성, 불이행으로 인한 경영상 손실 등을 객관적으로 입증해야 합니다.
- 근로자가 지시를 받지 않았거나 지시 내용이 불명확했다면 징계사유로 인정되기 어렵습니다.
■ 결론
업무지시 불이행이나 거부는 단순히 상사의 말을 듣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곧바로 중징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사용자의 지시가 정당하고 근로자가 특별한 사유 없이 반복적으로 불이행해 조직질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 경우에만 중징계가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지시가 부당하거나 근로자의 거부에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징계의 정당성이 부정될 수 있습니다.
실제 분쟁 예방과 효과적 대응을 위해서는 각 단계별로 입증자료를 꼼꼼히 준비하고 필요시 노무사 등 전문가의 자문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상담문의
· 📞031-778-6875
· 카카오톡 빠른문의(바로가기)
· 네이버로 상담예약(바로가기)
👉 전체 글 보러가기 (아래 제목 클릭)
📕 위법한 상사 명령에 따르면 징계 면책되나요? 업무지시 관련 징계사유의 정당성 정리
2025. 6. 11.
딜라이트노무법인
안녕하세요, 딜라이트노무법인입니다.
지난달 15일 서울고등법원은 한국마사회의 인사처장에 대한 징계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인사처장이 감사위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직장 내 괴롭힘 신고자를 다른 부서로 인사발령하는 시행안을 작성하고 결재하였는데, 회사는 이를 징계사유로 보았지만 법원은 해당 인사발령이 감사행위 방해 관여나 조력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며 징계사유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본 것입니다.
이 사례는 업무지시를 거부하거나 불이행한 것도 아니고 '상사의 지시에 따라 행동했을 뿐인데 이걸로 징계를 받아야 하나?' 라는 현실적인 의문과 맞닿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업무지시 관련 징계사유의 정당성 판단 기준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상사의 명령에 따른 행위라고 해서 모든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 업무지시 관련 징계사유의 정당성은 이렇게 판단합니다.
[1] 사용자의 업무지시 정당성
[2] 근로자의 거부 사유 정당성
[3] 업무지시의 명확성 및 입증 책임
■ 결론
업무지시 불이행이나 거부는 단순히 상사의 말을 듣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곧바로 중징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사용자의 지시가 정당하고 근로자가 특별한 사유 없이 반복적으로 불이행해 조직질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 경우에만 중징계가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지시가 부당하거나 근로자의 거부에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징계의 정당성이 부정될 수 있습니다.
실제 분쟁 예방과 효과적 대응을 위해서는 각 단계별로 입증자료를 꼼꼼히 준비하고 필요시 노무사 등 전문가의 자문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상담문의
· 📞031-778-6875
· 카카오톡 빠른문의(바로가기)
· 네이버로 상담예약(바로가기)
👉 전체 글 보러가기 (아래 제목 클릭)
📕 위법한 상사 명령에 따르면 징계 면책되나요? 업무지시 관련 징계사유의 정당성 정리
2025. 6. 11.
딜라이트노무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