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딜라이트노무법인 입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은 근로자가 업무 중 발생하거나 업무로 인해 유발 악화된 질병에 대해 산재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혈관 질병과 심장 질병은 업무상 과로, 스트레스 등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산업재해로 자주 문제됩니다.
이 글에서는 어떤 경우에 이러한 질병이 산재보험에서 보상의 대상이 되는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 주요 기준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1. 업무상 질병으로 보는 대표적 질병
먼저, 다음의 뇌혈관 및 심장 질병이 대표적인 대상에 해당합니다.
- 뇌실질내출혈
- 지주막하출혈
- 뇌경색
- 심근경색
- 해리성 대동맥자루
이러한 질병은 대표적인 산재 뇌심혈관 질환이나, 이에 해당하는 질병이 아니라도 업무 관련성이 있다면 산재로 승인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경우가 산재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업무 관련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02. 산재 인정기준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구체적 사유가 인정되어야 합니다.
[1] 돌발적, 예측 곤란한 긴장이나 흥분 등
업무 수행 중 갑작스러운 긴장, 공포, 놀람, 급격한 업무 환경 변화로 인하여 근로자의 생리적 상태에 뚜렷한 변화를 일으킨 경우가 해당합니다. 예컨대 조경 업무중 벌쏘임(bee sting)을 입어 쇼크로 기절한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2] 단기간 과중한 업무
발병 직전 단기간 동안 업무량, 업무시간, 강도, 책임 등이 급격히 증가하여 극심한 육체적, 정신적 과로가 발생한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프로젝트 마감 직전에 밤샘 근무를 반복하거나, 인력 부족으로 업무량이 폭증하는 상황이 해당할 수 있습니다.
[3] 만성적으로 과중한 업무
장기간 반복된 과중한 업무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부담이 누적되어 질병이 유발되었거나 기존 질환이 악화된 사례입니다. 업무량 과도, 장시간 노동, 고도의 책임 부담, 잦은 시차출장, 교대 근무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03. 고혈압, 고지혈증 등이 있더라도 산재 인정가능
주의할 점은 질병이 업무관련성 보다는 개인적 소인에 따른 질병인 경우 산재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업무관련성이 비교적 뚜렷하다면 이미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기존 질병이 있다고 하더라도 산재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04. 산재는 업무관련성 입증이 핵심
뇌혈관 및 심장 질병은 업무와 관련하여 급성, 단기간, 만성적 과로, 스트레스가 있었음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증빙자료 확보와 전문가 상담이 중요하며, 단순히 질병이 발생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산재 신청을 계획 중이라면,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진행함이 보다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상담접수/사건문의
· ☎ 031-778-6011
· 카카오톡 상담접수 (바로가기)
· 네이버로 상담예약 (바로가기)
📌 전체 글 보러가기 (아래 제목 클릭)
· 뇌혈관 및 심장질병, 산재 업무상 질병 인정 기준 - 뇌출혈, 뇌경색, 심근경색 등 산재상담
2025. 7. 4.
딜라이트노무법인
안녕하세요 딜라이트노무법인 입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은 근로자가 업무 중 발생하거나 업무로 인해 유발 악화된 질병에 대해 산재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혈관 질병과 심장 질병은 업무상 과로, 스트레스 등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산업재해로 자주 문제됩니다.
이 글에서는 어떤 경우에 이러한 질병이 산재보험에서 보상의 대상이 되는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 주요 기준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1. 업무상 질병으로 보는 대표적 질병
먼저, 다음의 뇌혈관 및 심장 질병이 대표적인 대상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질병은 대표적인 산재 뇌심혈관 질환이나, 이에 해당하는 질병이 아니라도 업무 관련성이 있다면 산재로 승인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경우가 산재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업무 관련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02. 산재 인정기준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구체적 사유가 인정되어야 합니다.
[1] 돌발적, 예측 곤란한 긴장이나 흥분 등
업무 수행 중 갑작스러운 긴장, 공포, 놀람, 급격한 업무 환경 변화로 인하여 근로자의 생리적 상태에 뚜렷한 변화를 일으킨 경우가 해당합니다. 예컨대 조경 업무중 벌쏘임(bee sting)을 입어 쇼크로 기절한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2] 단기간 과중한 업무
발병 직전 단기간 동안 업무량, 업무시간, 강도, 책임 등이 급격히 증가하여 극심한 육체적, 정신적 과로가 발생한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프로젝트 마감 직전에 밤샘 근무를 반복하거나, 인력 부족으로 업무량이 폭증하는 상황이 해당할 수 있습니다.
[3] 만성적으로 과중한 업무
장기간 반복된 과중한 업무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부담이 누적되어 질병이 유발되었거나 기존 질환이 악화된 사례입니다. 업무량 과도, 장시간 노동, 고도의 책임 부담, 잦은 시차출장, 교대 근무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03. 고혈압, 고지혈증 등이 있더라도 산재 인정가능
주의할 점은 질병이 업무관련성 보다는 개인적 소인에 따른 질병인 경우 산재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업무관련성이 비교적 뚜렷하다면 이미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기존 질병이 있다고 하더라도 산재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04. 산재는 업무관련성 입증이 핵심
뇌혈관 및 심장 질병은 업무와 관련하여 급성, 단기간, 만성적 과로, 스트레스가 있었음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증빙자료 확보와 전문가 상담이 중요하며, 단순히 질병이 발생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산재 신청을 계획 중이라면,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진행함이 보다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상담접수/사건문의
· ☎ 031-778-6011
· 카카오톡 상담접수 (바로가기)
· 네이버로 상담예약 (바로가기)
📌 전체 글 보러가기 (아래 제목 클릭)
· 뇌혈관 및 심장질병, 산재 업무상 질병 인정 기준 - 뇌출혈, 뇌경색, 심근경색 등 산재상담
2025. 7. 4.
딜라이트노무법인